표현대상의 단순화 1940년대

  • 작가
  • 관리자

표현대상의 단순화 1940년대

표현대상의 단순화 1940년대에는 유화백의 귀국과 더불어 종전, 해방이라는 시국의 혼란이 있었고 이에 이어 동란을 1950년대 초에 보게 된다. 유동적이고 혼란기의 창작활동은 국내미술계의 맥락을 유지케하는 그룹 전시로 유화백의 활동을 보게 된다. 그러나 본격적인 작품 활동은 동란 이후에 이르러 무르익게 된다. 1950년대의 후반기부터 창작활동의 양상은 초기의 기본적인 조형성을 근거로 삼은 표현대상의 단순화에 노력이 전개되고 있다. 이때의 작품은 대상물체를 어떻게 복합적으로 평면화하느냐 하는 데에 문제가 있었던 것 같다. 초기에서 보여준 기하학적인 형의 소재로 구조적인 공간을 탐구할 때와는 달리, 대상물체의 자연형태에서 감각적인 제요소를 제거하는 작업인 것이었다. 즉, 대상의 구체성을 기본형으로 환원시키는 과정에서 대상의 환경까지 여기에 포함시키고 있다. 따라서 거리공간축적이 동시에 문제시되었던 것 같다. 다시 말해 보여지는 공간 내의 여러 물체나 자연요소까지 포함시켜 어떻게 시각적인 거리를 추상화하느냐 하는 문제였다. 여기서 유화백의 추상미술세계가 이러한 문제를 두고 더듬고 있는 상태를 정직하게 보여주고 있다. 그것은 개념적인 윤곽선이 어느 대상의 형으로 잔영되어 나와있다는 점에서이다. 「창작과정에서 막다를 골목에 이르렀을 때에 나는 항상 뚫고 나갈 길이 있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한 작품은 다음 작품을 위한 과정이고 계속적으로 작품을 해야되는 근거가 된다」는 유화백의 작품관이 그의 작품세계를 이해하고 접근하는데 도움이 되고 있다. 「길이 막히면 1년이건 얼마간이건 길을 찾을 때까지 기다립니다」는 그의 자세는 다음 단계를 위한 모색 기간으로 끈질긴 창작을 위한 기나긴 세월이었음을 대변하는 말이다. 1950년대 말까지 자연은 주로 곡선과 직선으로 잡혀지면서 입체적인 면을 나타내고 있으며 山, 水, 木, 部落등의 형상이 시사적인 선으로 잔영을 보이고 있다. 이것은 평면과 입체의 공간성을 일원화하는 어려움이 경험되고 있는 상태이다. 사실 평면적인 것과 입체적인 것이 관념대상으로 될 때, 그 표시는 二元的인 상태에서 나타나게 되며 이때에 구상성을 지니게 된다. 공간의 일원화가 여기서는 추상의 길이 되고 또 그 방법은 형상성을 떠난 순수 기하학적 선이나 색채위주로 된다.

LIST